베트남 냐짱(나트랑)에서 상비약 구입

대학원 입학 후 달고 사는 병이 급격히 늘어났다. 그래서 보통 상비약을 바리바리 싸들고 다니는데 이번에는 빼먹은게 좀 있어 구입 목록을 작성했다. 일부는 한국에서는 전문의약품이지만 한국 반입할 것도 아니고 현지에서 소비할 물건들이라 상관없다. 

1. 경구제제
  - 펙소페나딘(Fexofenadine): 3세대 항히스타민제로 알레르기성 비염/결막염 때문에 여러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한 경험상 몸에 제일 잘 맞는 약이었다. 한국에서는 알레그라 120mg이 일반의약품으로 출시되어 있으며 다른 용량은 모두 전문의약품이다. 베트남에서는 텔파스트(Telfast) 브랜드로 팔리고 있으며 60mg과 180mg이 대중적으로 팔린다. 현지에서 유명한 약국들을 들러 구입하려 했으나 펙소페나딘 제제 자체가 없는 곳이 대다수였다. 티엔 푸(Tien Phu) 약국은 베트남 현지제약사의 펙소페나딘 제제(60mg/180mg)을 판매하고 있었고, 그나마 프랜차이즈 약국에 가야 텔파스트BD(60mg 제재)가 있었다. 결국 Nha Thuoc 약국에서 텔파스트BD 30정 1박스를 12만동(6,700원)에 구입했다. 보령약국에서 알레그라 120mg이 4,500원 인 것을 고려하면 동일한 가격이다. 
 - 나프록센(Naproxen): 나는 통풍과 편두통이 있기에 NSAIDs 중 가장 잘 맞는 나프록센을 항시들고 다닌다. 그런데 이번에는 250mg 3정만 비상용으로 가져왔는데 나프록센은 통풍발작 초기 750mg을 투여해야 하므로 말 그대로 비상용이었다. 살짝 불안해 베트남에서 10정 정도 구입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베트남, 최소한 냐짱에서는 나프록센 제제를 구할 수 없었다. 베트남 약국 사이트에서 본 바로는 베트남은 나프록센이 전문의약품인데 그나마도 종류가 매우 적었다. 아마 통상적으로 거의 처방이 이뤄지지 않는 듯 했다. 대부분의 약국은 NSAIDs로 이부프로펜(IBU)만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텔파스트 BD를 산 Nha Thouc에서는 록소프로펜을 보여줬다. 어쩔 수 없이 이부프로펜이라도 구입. 
 - 오메프라졸(Omeprazole): NSAIDs를 샀으니 위장장애 예방을 위한 프로톤펌프억제제(PPI)도 구입해야 했다. 한국에서 NSAIDs 위장장애 예방용으로 허가받은 약제 중 가장 대중적인건 오메프라졸이다. 오메프라졸 20mg을 구입하고자 했고 이건 모든 약국에 다 있었다. 다만 모두 베트남 현지제약사 것이나 인도제약사 제품이었다. 베트남 제약사 것으로 10정 구입했다. 가격은 아마 2만동 정도 했던거 같다. 
 - 아세트아미노펜(AAP): 이건 현지소비용이 아닌 집에서 먹는 타이레놀이 다 떨어져서 구입했다. 파나돌(Panadol)으로 100정에 14만동(7,900원)이었다. 보령약국에서 타이레놀 110정이 25,000원인거 고려하면 확실히 저렴하다. 

2. 연고/크림 
 - 모기기피제(이카리딘): DEET는 합성섬유 손상 문제로 합섬 위주로 입게 되는 여름과 상극이라 이카리딘을 선호한다. 한국에서는 작은소참진드기 기피목적으로 허가받은 이카리딘 15% 이상만을 구입, 사용하고 이 중 가장 저렴한 마이키파 제로(이카리딘 20%)를 주로 사용했다. 다만 마이키파는 액상 제형으로 스프레이로 사용하는데 너무 입자가 날려서 늘 마스크 쓰고 뿌려왔다. 그런데 한국에는 크림형태의 이카리딘 제품이 없었다. 롤온은 있지만  모두 7%였다. 그래서 베트남 온 김에 로션 제형의 제품을 구입하고 싶었고, 로토제약의 레모스(Remos) 베이비 제품을 구입했다. 이카리딘 10% 제품이라 진드기 기피성능은 기대할 수 없지만 7%대비 유지시간이 길고 로션제형 인 것에 만족하려고 한다. 가격은 하나에 50,000동(2,800원)으로 DEET 제품의 2배지만 한국가격 고려하면 저렴하다. 참고로 레모스 베이비 스프레이는 이카리딘 15%에 3-4만동선이니 스프레이 구입도 추천한다. 

가장 많이 본 글